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105)
240105_오픽 노잼(IH시리즈) 영상 제목 '아.. 그 단어가 뭐였더라...' 멘붕이 올 때 이렇게 하면 점수가 올라갑니다! | 왕초보 오픽 02 내용 1 Root-word strategy 사용하는 이유 1. 갑자기 멘붕올 때 사용하기에 좋음 2. MP 답변한 감정을 과거, 현재, 미래형을 써서 답변을 해보자의 전략 2 Root-word strategy 방법 1. MP 대답에서 감정 부분이 현재 2. Body 부분에서 과거, 미래 로 대답하는 전력 3 채점 시 대답을 하는 방법 1. 천천히 하는 것이 좋음 : 질문을 듣고, 생각한 뒤 답변 느낌 2. 빨리 하면 낮은 점수 : 암기한 느낌 3. 아는 질문이 나와도, 빨리 하지 말기 -> 뒤에 모르는 게 나와서 천천히 답하면 채점자 입장에서 느린 것은 대답, 빠른 것은 암기로 생각 할 수 ..
240103_오픽 노잼(IH시리즈) 영상 제목 you know를 잘못쓰면 점수 날라갑니다 | 왕초보 오픽 01 내용 1 you know같은 fillers를 잘 써야 함. 2 스크립트 아님을 느껴지고, Flow가 느껴짐. 3 fillers 자연스럽게 쓰는 걸 배우는 것 Q: 만약에 질문 중에 해외 여행 가기 (before) 마음과 그 이후 (after) 설명 A : 모두 말하려고 하지마(1개의 답변에 포커싱) - 시간도 없음 - 하고 싶은 대답 99% 나머지 1개 정도 대답 4 you know + next word = 빠르게, next word가 나와야 함. 5 Filler 써도, 멘붕이 올 때가 있다. I tend to eat a Prpcorn usualll in that places you know, bacause ..~ > 필러 써도 ..
2024년 계획 좌우명 # 무거운 깃털 같은 존재가 되자. 깃털처럼 가벼운 사람이 되자. 하지만 그 내면의 무게는 무거운 사람이 되도록 하자. 업무 : - 개인적인 호불호와 상관없이 주어진 업무에는 편견 없이 가볍게 접근하는 사람이 되자. - 그렇지만 접근 가볍지만 맡은 업무에 대해서는 일에 진중함이 있어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자. 대인관계 : - 기본 텐션은 농담을 잘 하고, 밝은 에너지를 줄 수 있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벼운 사람이 되자. - 그렇지만 나름의 가치관으로 진중함을 가져 주변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자. 마음가짐 #1 - 초딩 수준으로 시작. 완벽하게 하려고 하지마. 처음부터 잘하려고 하지마. 일단 초딩스럽게 시작해. ‘도의적으로 옳은 결정이란 없으며, 내게 맞는 결정만 있을뿐’ - ..
오픽 IH 도전 1. 공부 방법 1) 공부방법 검색 영상 제목 오픽, 어떤 시험인가요? 입문자를 위한 15분 총정리!ㅣ해커스오픽 클로이 내용 1 10일 단기로 IH-AL 달성하기 2 5가지 전략이 중요. 3 1. 오픽이란? > 회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 4 2. 목표설정/발화량 설정 > IH를 목표를 한다면 2~3문장을 속도감있게 대답을 해야 함. > AL를 목표를 한다면 문단단위로 대답. 5 3. 평가기준 > 표현력, 이야기전개, 유창성(가장 중요), 정확성(전달력) * 유창성을 키우는 방법 - 1일 1쉐도잉 > 수업시간에 매일 원하는 쉐도잉 파일을 1개를 선택해서 따라하기 * 방법 > 1문장 단위 > 2문장 단위 > no-pause * 쉐도잉은 억양과 강세 모든 부분을 똑.같.이 따라하기 6 7 4. 질문 유형별 학..
3) 식당 정보 EDA(3) 1. 선별된 각 컬럼의 전처리 실시. 1) 35개의 컬럼 중 23개만 선별 실시. 2) index으로 사용할 컬럼 전처리. (1) 식당ID : 식당 고유의 ID (2) 식당명 : 식당 명 (3) 도로명주소 : 도로명 주소 3) N/Y 컬럼 0과 1로 처리하기. (1) 테이크아웃여부 (2) 예약가능여부 (3)선결제(pre-pay)여부 (4) 와이파이여부 (5) 장애인편의시설여부 (6) 주차가능유무 4) 정규휴업일 (1) 통일된 양식으로 작성되어 있지 않음 (2) 통합 전처리 실시 - 아래 경우를 나눠서, 통일성일 갖춤 - 연중무휴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의 수 - 명절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의 수 - 기타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의 수 - 토요일 오타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의 수 - 모든 요일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의..
3) 식당 정보 EDA(2) 1. 전체 컬럼 살펴보기 & 선별하기 1) 3,110 개의 행과 35개의 컬럼으로 구성 (1) 35개 컬럼 파악 - 식당ID : 식당 고유의 ID > index으로 사용 - 식당명 : 식당 명 > index으로 사용 - 업종(메뉴)정보 : 총 75종 업종 > null, 한식을 세부 분류하기 전 - 테이크아웃여부 : N/Y 구분 - 예약가능여부 : N/Y 구분 - 선결제(pre-pay)여부 : N/Y 구분 - 식당대표전화번호 : 전화번호 / 분석에 필요 없는 컬럼 - 도로명주소 : 도로명 주소 > index으로 사용. 지번주소 : 지번 주소 > index으로 사용. > 도로명주소를 사용 예정. - 정규휴업일 : > 식당별 주간, 요일 모두 다름. > 요일별 전처리를 통합할 예정. - 식당면적 : > 면적이..
2023년 평가 올해 초에 계획을 잘 달성했나 평가를 해봤다. 아래는 내가 올해 초에 다짐한 내용들이다. 마음가짐 #1 - 초딩 수준으로 시작. 완벽하게 하려고 하지마. 처음부터 잘하려고 하지마. 일단 초딩스럽게 시작해. ‘도의적으로 옳은 결정이란 없으며, 내게 맞는 결정만 있을뿐’ 목표는 항상 변경함. 평가 : ★★★★★ 평가 내용 : 1. 여전히 무엇가를 결정할 때, 최선인가에 대한 의문이 항상 존재 함 2. 또한 완벽하게 하려고 하는 기질은 어쩔 수 없음. 3. 하지만 위와 같은 마음가짐이 후로, 시작에 있어서 스트레스가 확실히 감소. 4. 또한, 성과적으로도 좋았던 한 해였음. #2 - 우선 순위를 항상 생각하기. 반드시 이뤄야 할 것들을 먼저 하기. 부담 없이 가볍게 시작하기. 평가 : ★ ★ ★ ★ ☆ 평가 ..
3) 식당 정보 EDA(1) 1. 전체 데이터 확인 1) 3,110 개의 행과 35개의 컬럼으로 구성 2) 데이터프레임 내의 각 컬럼별 null 값 개수 확인 (1) null 값이 존재하는 컬럼 - 업종(메뉴)정보 : 636 - 식당대표전화번호 : 80 - 도로명주소 : 3 - 정규휴업일 : 623 - 대표메뉴 : 3 - 식당홈페이지 : 2994 3) null 값 처리 판단하기 (1) null값이 전체 데이터의 약 20%에 해당. - 삭제하기에는 많은 손실되어서, 모델 성능에 큰 영향이 있을꺼로 판단 함. (2) null 값을 최대한 채우기로 결정. 2. null값이 큰 3개 컬럼 파악(업종(메뉴)정보, 정규휴업일, 식당홈페이지) (1) 정규휴업일, 식당홈페이지 컬럼은 본 연구에 성능과 관련 없는 변수로 판단하여, 제거 예정 (2)..
2) 2개 데이터 병합 방법 1. 2개 데이터 병합 방법 1) 인기있는 식당의 기준을 네이버 평점 4.5 이상 식당으로 정의 함. (1) 추후 회귀 모델로 네이버 평점 4.5이상 식당들의 특징을 살펴 볼 예정. 2) 2개의 (전라남도_식당정보, 전라남도_식당품질정보) 파일에는 target변수인 '네이버 평점'과 merge 할 수 있는 고유 '식당 ID'가 존재 3) '식당 ID'로 merge결과 공통된 식당 데이터는 20개만 존재 4) '전라남도_식당품질정보' 파일은 이미 평점이 좋은 식당만 존재 & null 값 다수 (1) 네이버 평점 분포가 고루 있어야 인기있는 식당의 특징 파악이 좋으나, 이 파일은 평점이 좋은 식당만 다수 (2) 근거 - 컬럼 '어워드 정보설명' : 모범식당, 안심식당 // 이미 좋은 식당으로 선정된 식당들의..
1) 주제 선정 & 자료 찾기 1. 주제 선정 : 인기가 많은 식당들은 그 이유가 뭘까? 1) 주제 선정 동기 (1) 내가 선택한 이 주제는 개인적인 경험과 궁금증에서 시작. (2) 부모님이 32년 넘게 식당을 운영. - 그중 30년 넘게 현재까지 고기집을 운영 중이시다. (3) 어릴 적 기억에는 항상 손님들로 북적이던 식당 (4) 현재는 부모님의 건강을 위해 소수의 손님만 받으시는 상태. (4) 오랜만에 단체 손님을 받으면서 오랜만에 일손을 도우면서 문득 이런 생각. - 만약 지금 내가 식당을 운영한다면, 어린 시절 부모님의 식당처럼 인기 있는 장소를 만들 수 있을까? (5) 이러한 호기심이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 2. 자료 찾기 1) 자료 찾기 (1)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찾은 2가지 데이터(전라남도_식당정보 & 전라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