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상 제목 : 원하는 논문을 찾는 방법 (feat. 펍메드)
2. 구글과 스칼라가 방대한 자료가 나와서, 초보자일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 논문이 아니라, 다양한 것들 나와 구분이 힘들 수 있다.
3. PubMed 소개
4. 장점 : 무료이며, 검색 결과 필터를 할 수 있음.
5. 단점 : 구글에 비해 검색 결과가 적음.(하지만 충분히 많다)
6. 검색만 후에는 반드시 필터링을 해야 함.
7. 최신 논문 찾기(3~5년 사이)
8. 리뷰 논문을 읽자
- 보통은 교과서를 통해 흥미가 생겨서 찾게 된다.
- 하지만, 관련된 내가 검색한 키워드의 리뷰를 통해 필터링 하기
- 내가 논문을 고르는 기준은?
- 제목을 먼저 보며 흥미가 있는 걸 열고, abstract(요약) 본다
- Figure가 괜찮은 것들을 지정해서 읽는다.
- Similar articles 클릭을 통해서, 유사 논문도 볼 수 있다.
- 새로 나올 논문, 메일링 서비스도 있음
- 로그인을 통해 해야함.
1. 영상 제목 : 논문 하나부터 열까지 다 읽을거면 이 영상 스킵하세요. [10분대학원생활]
2. 논문을 효율적으로 읽는 방법
3. 어디서 찾는가 중요함 -> 해외 논문 사이트 : 웹오브사이언스, 펍메드, 구글 스칼라
- 걸러진 논문에 pdf파일은 학교와 연동되어 있는 사이언스다이렉트, 와일리 온라인 라이브러리에서 다운 받으면 된다.
4. 국내 논문 사이트 → NDSL, KCI, RISS > 바로 볼 수 있게 잘되어 있음.
5. 궁금한 주제가 있는데, 어떻게 검색할 지 모를 경우
- 그럴 때는 해당 주제에 review를 붙여 검색
- 리뷰 논문 :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한명의 저자가 우리 대신 노가다를 해준 논문
a) 과거~최신까지 잘 정리하고 소개하는 논문
b) 여러가지 논문을 하나의 논문으로 짜집기한 논문 (동향 파악)
c) 참고문헌 100이상이면 리뷰논문
6. 이제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으니, 좋은 답변을 가려내는 방법
- 수 많은 데이터를 필터를 해야한다.
- 일단 abstract을 읽는다.
- abstract에서 앞 중요 문장, 뒤 문장 읽어보고 내게 맞는 건가 판단
- 표와 그림이 내가 의도하는건가 부합한가로 또 판단을 해봐
1. 영상제목 : 논문 검색 꿀팁! 손쉽게 논문 찾는 방법
2. 기본적으로 구글 스칼라 검색에서 검색
3. 키워드가 5~6개 정도로 검색
4. 만약 키워드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먼저 리뷰 논문을 찾는다.
5. 좋은 키워드 알아보는 방법은 출판사를 보는 방법
- Springer, Elsevier, wiley 가 대표적 출판사
- 위 출판사에 자주 나오는 키워드라면 괜찮은 키워드로 판단하면 된다.
- 저자 이름 맨 오른쪽에 출판사가 나온다.
6. 어떤 논문이 괜찮은 논문인지 파악하기
- 논문을 클릭하고 요약에서 그 논문의 핵심이되는 문장을 찾는 것이 좋다
a) in this studty, we present, purpose, however → 이 문장은 대부분 핵심문장을 포함
- 그림을 빠르게 파악하기.
a) 그림을 통해 내가 찾고자 하는 결과, 주제가 없다면 그건 패스
- 다운 받은 논문 중에 최종 논문을 선별하는 방법
a) full paper
i) 소개 부분의 가장 마지막 문단을 읽어본다.
ii) 이 문단에 진행, 결과에 대한 것을 기술함.
b) review
i) 워낙 길기에 다 읽을 생각하면 안된다.
ii) 목차를 중심으로 어떠한 다른 논문들을 소개하는 가 파악
iii) 목차에서 파악된 필요한 부분만 봐서 내용을 파악
c) letter
i) 그림 먼저 보고 파악
ii) 그림에 설명, 인용 문장을 집중적 파악, 추가로 보충자료
d) 남은 논문을 집중적으로 읽는다.
i) 읽을 때 프린트해서 종이로 논문을 읽음
ii) 거기서 제시되는 인용하는 논문을 또 찾아볼 수 있음
iii) 논문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키워드를 또 검색
iv) 지속적으로 반복
1. 영상제목 : 자료 찾는 법 - 참고문헌 찾기 요령, 검색 키워드, abstract, 목차 비교 선별하기
2. 자료 찾을 때 기본 원리 3가지 :
- 기본 사실 찾기, 직접 연관된 내용 찾기, 방법론이나 관점 관련 문헌 찾기
- 기본 사실 확인 및 분석 관점 설정
a) 예) 한국 코로나 대응 정책에 대한 자료조사
b) 기본 사실 확인 → 전문사전, 위키, 백과 활용
c) 분석 관점 →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나에 관점을 설정하기
4. 주제 분할
- 예) 사회적 관점에서 볼 경우
- 위험사회론, 핵심 정책, 정보통제 활용 및 사례 등등
- 이렇게 여러 사회적인 측면에서 주체를 설정 분할 해야함.
- 그 분할에 맞는 논문들을 찾는다.
5. 핵심 사이트, 논문 검색해서 선택하기
- 백과사전 류
- 논문, 디비피아
- 정책 등 사이트
- 프리즘 사이트(정부 보고서)
- 기타(신문, 블로그)
a) 너무 많기에 빠르게 선별해야 함.
6. 정리
- 백과사전을 통해 코로나 19정책을 훑어본다.
a) 사실 백과사전에서 위험사회론, 올리 벡 같은 사회적 관점 등 백과사전 읽으며 지식 습득을 꼭 해야함.
b) 매우 중요함.
- 습득한 지식으로 주제 분할을 통해, 분할에 맞는 논문을 선정
- 논문 찾기
'👀 온라인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도 정부R&D사업 부처합동설명회 (0) | 2023.01.03 |
---|---|
무료 영어공부 자료(유튜브 채널 4개 소개) (0) | 2022.03.02 |
영어 왕초보가 흥미롭게 공부하는 방법 (0) | 2022.03.01 |
세계 최초 멸종 예정 국가? 대한민국! (0) | 2022.02.20 |
목표가 실패를 실패하고 다시 일어나는 방법 (0) | 2022.02.03 |